728x90
반응형
✅ 사업성분석을 위한 사업장 및 입지분석
Ⅰ. 사업장 및 입지 분석의 목적
- 계획사업 수행을 위한 물리적 기반 확보 가능 여부 판단
- 시장 접근성, 인력 확보, 물류 효율성, 비용 경쟁력 등 다각적인 요인을 검토
- 사업 성공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입지 리스크 사전 차단
Ⅱ. 분석 주요 항목 및 최신 고려요소
분석 항목주요 내용최신 반영 요소 (2025년 기준)
1. 입지 유형 | 제조, 유통, 서비스, IT, 프랜차이즈 등 업종별 입지 필요 요건 | 온라인 연계 입지 필요성, 물류 거점 다변화 |
2. 접근성 | 고객 접근성, 교통 인프라(도로, 대중교통 등) | B2C는 도보/대중교통 중심, B2B는 물류 접근 중심 |
3. 타깃 시장 밀접도 | 핵심 고객군과의 거리 | 거주지 기반 소비 증가, 근린상권 분석 중요 |
4. 경쟁환경 | 주변 경쟁업체, 대체 서비스 존재 여부 | 네이버, 배달앱, 오픈마켓 등 온라인 경쟁까지 포함 |
5. 부동산 비용 | 임대료, 관리비, 보증금 등 총 점유 비용 | 공실률 추이 및 상권별 월세 변동률 참고 |
6. 상권 및 유동 인구 | 유입 인구, 체류 시간, 직장/주거 혼합 비율 | 유동 인구보다 “체류 인구” 분석 강화 추세 |
7. 인력 수급 가능성 | 구직자 접근성, 인근 주거지, 출퇴근 편의성 | 청년 인력 확보 가능성, 외국인 근로 수급 가능 여부 |
8. 물류 인프라 | 물류창고 접근, 택배/배송 효율성 | 퀵배송/라스트마일 대응 입지 여부, 풀필먼트 접근성 |
9. 확장성 및 유연성 | 향후 사업확장 시 인접 공간 확보 가능성 | 공유오피스/유연 사무공간 이용 여부 |
10. 행정·법적 리스크 | 용도지역 제한, 인허가 조건, 지자체 정책 등 | 지구단위계획, 영업 허가제한, 유해시설 거리 규제 등 |
11. 친환경/ESG 기준 | 환경 규제, 재생에너지 도입 가능성, 지역민 반응 | 녹색 건물 인증 여부, 탄소배출 허용 기준 등 |
Ⅲ. 분석 절차
1️⃣ 입지 후보지 선정
→ 상권분석 시스템, 지도 기반 조사, 부동산 정보 포털 활용 (예: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sg.sbiz.or.kr, 네이버부동산 등)
2️⃣ 정량적 비교표 작성
→ 각 후보지별로 항목당 점수 또는 등급화하여 비교
3️⃣ 실사 및 현장 인터뷰
→ 실제 상권 조사, 인근 상인/직장인 대상 인터뷰 병행
4️⃣ 비용 분석
→ 초기비용(보증금+공사비) + 월고정비용 = 총점유비용 산출
5️⃣ 리스크 및 기회 요인 정리
→ SWOT 또는 PEST 분석 활용
6️⃣ 최종 후보지 추천 및 타당성 결론 도출
→ 예비 수익/손익 시뮬레이션 포함
Ⅳ. 입지분석 시 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 도구
도구/사이트기능
상권정보시스템 | 상권별 유동인구, 점포수, 업종 현황 등 |
KMAPS | 산업별 시장 및 기술 기반 입지 분석 |
네이버 지도 + 유동인구 | AI 기반 유입 인구/체류 인구 시각화 |
KB부동산·직방·다방 | 상업용 부동산 시세 및 수요 예측 |
오픈서베이/오피니언 | 지역 거주민 대상 설문조사 연계 |
환경부/국토부 | 용도지역, 친환경 건물, 행정 규제 확인 |
✅ 결론
입지 선정은 단순한 주소의 문제가 아니라, 고객/직원/물류/비용/규제의 교차점입니다.
- ✔️ “어디에” 위치할 것인가는 곧 “어떻게” 사업할 것인가를 결정합니다.
- ✔️ 최신 입지 분석은 오프라인뿐 아니라 온라인/배송/ESG 관점까지 포함해야 합니다.
- ✔️ “공간 효율 + 고객 밀접 + 유연 운영”이 핵심 키워드입니다.
728x90
반응형
'창업실무 > 사업성분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재무분석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 방법 (2) | 2025.04.02 |
---|---|
생산 타당성 분석 절차 및 방법 (0) | 2025.04.02 |
인재 확보 계획 분석 (0) | 2025.04.02 |
인력 수요 분석 (0) | 2025.04.02 |
조직 및 인력계획 분석 절차 (0) | 2025.04.02 |